티스토리 뷰
반응형
정치에 관심은 많지만 막상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되셨나요?
투표 외에도 정치후원금을 통해 나의 뜻을 정치에 전달할 수 있어요.
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정치후원금센터를 이용하면 온라인으로 쉽고 안전하게 후원이 가능합니다.
✅ 정치후원금이란?
- 국민이 정당이나 정치인에게 직접 보내는 공식 정치자금
- 정치자금법에 따라 기부금액·한도가 정해짐
- 세액공제 혜택 제공 (최대 25%)
🎯 후원회 제도의 취지
정치자금을 정치인이 직접 받게 되면 부정과 비리 우려가 있어
별도의 후원회(법적 등록된 중립기구)를 통해 투명하게 기부가 이뤄지도록 만든 제도입니다.
✅ 정치후원금 후원 방법 (2025년 기준)
1️⃣ 정치후원금센터 접속
👉 https://www.give.go.kr
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직접 운영하는 사이트로 100% 신뢰 가능합니다.
2️⃣ 간편 로그인
카카오, 네이버 등 간편인증 로그인 지원
휴대폰 인증만으로 회원가입 없이도 사용 가능
3️⃣ 후원 대상 선택
- 정당 전체 후원 (민주당, 국민의힘, 개혁신당 등)
- 정치인 개인 후원 (이재명, 이준석, 조국, 안철수 등)
4️⃣ 후원금액 입력 및 결제
카드, 계좌이체, 카카오페이 등으로 결제 가능
1,000원부터 후원 가능
5️⃣ 기부금 영수증 발급
연말정산/소득공제 시 자동 반영 가능
세액공제 최대 25%까지 혜택
🧾 정치후원금 세액공제 안내
기부 금액 | 세액공제 혜택 |
---|---|
10만 원 이하 | 전액 세액공제 (환급 100%) |
10만 원 초과 ~ 3천만 원 | 15% 세액공제 |
3천만 원 초과 | 25% 세액공제 + 지방소득세 공제 |
📌 후원회 종류에 따른 기부 한도
정치후원금 기부 한도는 후원회 성격(상시 vs 임시)에 따라 달라집니다.
후원 대상 | 기부 한도 | 비고 |
---|---|---|
대통령 선거 후보자 | 1,000만 원 | 임시 후원회 (선거 시) |
국회의원 또는 후보 | 500만 원 | 후원회+후보자 후원회 합산 |
시·도의원 후보 | 200만 원 | 동일인 기준 합산 |
구·시·군 의원 후보 | 100만 원 | 동일인 기준 합산 |
중앙당 후원회 | 500만 원 | 정당별 각각 가능 |
연간 총 후원한도 | 2,000만 원 | 여러 곳 합산 기준 |
🚫 후원금 기부 불가 대상
- ❌ 외국인 (영주권자 포함)
- ❌ 법인·단체 (국내외 모두)
- ❌ 공무원·교사 → 법률상 가능하나 국가공무원법상 위반 소지
✍️ 마무리
정치를 바꾸고 싶다면, 단순한 불평보다 후원이라는 실천이 가장 강력한 방법일 수 있어요.
내가 응원하는 정당과 후보에게 힘을 실어주고, 대한민국을 바꾸는 데 함께해보세요!
지금 바로 후원해 보세요 👉 정치후원금센터 바로가기
#정치후원금 #정치인후원 #세액공제 #후원금기부한도 #정치참여 #국회의원후원 #대선후보후원회 #정당후원 #공무원정치중립 #후원회제도취지